티스토리 뷰

목차



    TV 수신료 해지 방법 총정리! 2025년 최신 절차 안내

    ✅ 목차

    1. 수신료, 왜 자동으로 빠져나갈까?
    2. 해지가 가능한 사람은 누구?
    3. 해지 방법 3가지 (KBS / 한전 / 아파트)
    4. 각 방법별 절차 요약
    5. 해지 후 확인할 사항
    6. 자주 묻는 질문
    7. 마무리 체크리스트

    매달 자동으로 빠져나가는 KBS 수신료 2,500원.
    TV를 보지 않거나, 집에 TV 수상기가 없다면 굳이 내지 않아도 되는 요금입니다.

    하지만 “어떻게 해지하는지 모르겠다”는 분들이 너무 많습니다.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2025년 기준, 가장 확실하고 간단한 TV 수신료 해지 방법 총정리입니다.

     

    1. 수신료, 왜 자동으로 빠져나갈까?

    수신료는 전기요금에 포함되어 부과됩니다.
    KBS가 한국전력과 제휴해 자동 이체되기 때문이죠.
    따로 신청하지 않아도 TV 수상기가 있다고 판단되면 요금이 청구됩니다.


    2. 해지가 가능한 사람은?

    TV가 집에 없는 경우
    모니터만 있고 TV 수신 기능이 없는 경우
    원룸, 오피스텔 등 전기요금 개별 납부 세대
    아파트라도 관리사무소를 통해 확인서 제출한 경우

    ⚠️ 주의: TV가 있으면 해지 불가, 단순 시청 여부와 관계 없습니다!

    3. 해지 방법 3가지

    1) KBS 고객센터 전화

    • ☎️ 1588-1801
    • 상담원 연결 → 개인정보 확인 → 해지 요청
    • 개별 주택, 원룸 등에서 사용

    2) 한국전력 고객센터

    • ☎️ 국번 없이 123
    • 본인 명의 계좌/주소 확인 후 해지 가능
    • 온라인 해지 불가, 전화로만 처리

    3) 아파트 관리사무소 경유

    • 관리사무소에 TV 미보유 확인 요청
    • 신청서 작성 → 관리소에서 한전에 통보
    • 약 1달 후 수신료 청구 중단

    4. 절차 요약표

    분류대상해지처비고
    단독주택 TV 없음 KBS 전화 상담 후 처리
    원룸/오피스텔 개별 납부 한전 전화 주소-고객번호 확인
    아파트 일괄 납부 관리사무소 확인서 필요
     

    5. 해지 후 확인할 사항

    ☑️ 다음달 전기요금 고지서에서 수신료 항목이 빠졌는지 확인
    ☑️ 해지 후 다시 청구되면 재문의 필요
    ☑️ 환불은 일부 가능하지만 까다로움 → 사전 해지가 중요!


    6. 자주 묻는 질문 (FAQ)

    Q. TV는 있는데 안 봐요. 해지 가능할까요?
    → 불가능. TV 보유 여부가 기준입니다.

    Q. 모니터만 있는데 케이블 꽂혀 있어요.
    → 수신 기능 없으면 가능. 설치 기사 확인 요청 필요.

    Q. 수신료 환불은 되나요?
    최근 6개월까지만 환불 가능, 직접 문의 필수.

    Q. 온라인으로 해지할 수 있나요?
    → 일부 지역 한전 앱에서 가능하나, 대부분 전화 또는 오프라인 필수


    7. 마무리 체크리스트

    ✅ 내가 해지 가능한 대상인지 확인
    ✅ KBS 또는 한전 고객센터에 전화
    ✅ 아파트는 반드시 관리사무소 먼저
    ✅ 해지 후 전기요금 청구서 꼼꼼히 확인


    🔗 참고 링크 모음

    📎 KBS 수신료 해지 절차
    📞 KBS 고객센터: 1588-1801
    📞 한국전력공사 고객센터: 국번 없이 123
    💡 한전 수신료 해지 안내 페이지: https://www.kepco.co.kr

     

    한국전력공사

     

    www.kepco.co.kr

    매달 빠져나가는 수신료, TV 없으면 안 내도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