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초등학교 졸업 후 끊기는 아동수당…이재명은 왜 18세까지 확대하겠다고 했을까?"


    [목차]

    1. ‘초등학교 졸업’과 함께 끝나는 지원, 부모들은 아쉽다
    2. 이재명 공약의 핵심: 아동수당을 고등학생까지
    3. 가계 부담은 사춘기부터 커진다
    4. 아이 키우기 좋은 나라? 아직 갈 길 멀다
    5. 정치 논쟁을 넘어, ‘현실’을 봐야 할 때
    6. 내 아이를 키우는 부모로서의 바람

    1. ‘초등학교 졸업’과 함께 끝나는 지원, 부모들은 아쉽다

    “초등학교까지는 그나마 나라에서 지원이 좀 있더라고요.
    근데 애가 중학생 되고 나니까 모든 게 돈이더라구요.”

    이건 제 주변 워킹맘 친구들이 입을 모아 하는 말입니다.
    지금 한국의 아동수당은 만 8세까지 지급됩니다. 초등학교 중간까지만 도움을 주는 셈이죠.

    하지만 진짜 양육비가 커지는 시점은 그 이후라는 거,
    아이를 직접 키워본 부모라면 다 아실 겁니다.


    2. 이재명 공약의 핵심: 아동수당을 고등학생까지

    이런 현실을 반영하듯,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최근 아동수당을 만 18세까지 확대하겠다는 공약을 발표했습니다.

    기존의 보편 아동수당 제도를 한층 확장해,
    초·중·고등학생 모두가 수당 혜택을 받을 수 있게 하겠다는 내용이죠.

    그의 말에 따르면,
    “아이 키우는 데 드는 부담을 사회가 함께 나눠야 한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출산 장려에만 집중할 게 아니라,
    “아이를 낳고 기를 수 있게 하는 정책”이 우선돼야 한다는 방향은 분명 설득력이 있습니다.


    3. 가계 부담은 사춘기부터 커진다

    실제로 초등학생 시기보다 중·고등학생 시기의 지출은 훨씬 더 큽니다.

    • 학원비
    • 간식비
    • 스마트폰, 교복, 교재
    • 친구 생일, 소풍, 수학여행 등 각종 활동비

    심지어 성조숙증으로 병원을 다니는 사례도 많고,
    요즘 아이들은 영어+수학+코딩까지 해야 ‘기본’이라고 하죠.

    한 달 용돈 10만 원도 모자라다고 말하는 청소년들 사이에서,
    부모들은 “어떻게든 해줘야지”라는 책임감으로 버텨냅니다.


    4. 아이 키우기 좋은 나라? 아직 갈 길 멀다

    정부는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내놓고 있지만,
    현장의 부모들은 늘 이렇게 말합니다.

    “애 낳는 건 문제가 아니야. 키우는 게 문제지.”

    육아휴직, 출산장려금, 아동수당… 하나하나 쌓이면 분명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가장 민감한 시기인 중·고등학교 기간에는 사각지대가 생기는 것도 사실입니다.

    이재명 대표의 공약은 바로 이 ‘빈틈’을 메우겠다는 시도입니다.
    단순한 퍼포먼스가 아니라, 실제로 가장 취약한 지점을 건드렸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합니다.

    5. 정치 논쟁을 넘어, ‘현실’을 봐야 할 때

    물론 정치권에서는 이 공약을 두고 다양한 반응이 나옵니다.

    • “선심성 포퓰리즘이다.”
    • “재정이 부족한데 무슨 돈으로?”
    • “고소득 가정에도 줘야 하냐?”

    이런 비판도 일리가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 필요한 건 단순한 논쟁이 아니라,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실용적 접근입니다.

    아이를 키워본 부모라면 누구나 아는 사실:
    지금은 말보다 행동이 필요한 때입니다.

    6. 내 아이를 키우는 부모로서의 바람

    저는 정치인이 아닙니다.
    그저 두 아이를 키우는 평범한 부모입니다.

    이재명 대표의 공약이 진심인지, 선거용인지 저는 모릅니다.
    하지만 적어도 지금 이 시점에서,
    “아이를 끝까지 책임지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그의 말에는 공감합니다.

    아동수당이 18세까지 확대된다면,
    단지 10만 원이 아니라,
    **아이를 키우는 사회의 태도가 달라졌다는 ‘신호’**가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