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 [목차]

    [목차]

    1. 후보자토론회의 의의와 목적
    2. 주요 정당 후보자 참여 토론회 일정
      2-1. 초청 1차: 경제 분야 (5월 18일)
      2-2. 초청 2차: 사회 분야 (5월 23일)
      2-3. 초청 3차: 정치 분야 (5월 27일)
    3. 초청 외 토론회: 무소속 후보 대상 (5월 19일)
    4. 각 회차별 핵심 토론 주제
    5. 토론회 시청 포인트 및 유권자 참고사항
    6. 결론: 정책 중심 대선, 토론회를 통해 비교하자

    1. 후보자토론회의 의의와 목적

    대통령선거 후보자토론회는 공직선거법에 따라 일정 지지율 이상 또는 국회의원 소속 정당 후보들에게 공정하고 평등한 발언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입니다.
    2025년 제21대 대통령선거에서는 총 4건의 공식 토론회가 열리며, 후보자의 공약, 정책, 비전, 문제해결 능력을 직접 비교할 수 있는 중요한 시간입니다.

    2. 주요 정당 후보자 참여 토론회 일정

    2-1. 초청 1차 토론회 (경제 분야)

    • 일시: 2025년 5월 18일(토) 20:00
    • 장소: SBS 스튜디오 (상암)
    • 주제:
      • 저성장 극복과 민생경제 활성화 방안 (시간총량제 토론)
      • 공약 검증:
        1. 트럼프 시대 통상 전략
        2. 국가경쟁력 강화 방안
    • 참여 후보: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 김문수 (국민의힘)
      • 이준석 (개혁신당)
      • 권영국 (민주노동당)
    • 사회자: 편상욱 (SBS 기자)

    2-1. 초청 1차 토론회( 사회 분야) 

    • 일시: 2025년 5월 23일(목) 20:00
    • 장소: KBS 스튜디오 (여의도)
    • 주제:
      • 사회 갈등 극복과 통합 방안 (시간총량제 토론)
      • 공약 검증:
        1. 초고령 사회 대비 연금·의료 개혁
        2. 기후 위기 대응 방안
    • 참여 후보: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 김문수 (국민의힘)
      • 이준석 (개혁신당)
      • 권영국 (민주노동당)
    • 사회자: 이윤희 (KBS 기자)

    2-3. 초청 3차 토론회 (정치 분야)

    • 일시: 2025년 5월 27일(화) 20:00
    • 장소: MBC 스튜디오 (상암)
    • 주제:
      • 정치 양극화 해소 방안 (시간총량제 토론)
      • 공약 검증:
        1. 정치 개혁 및 개헌
        2. 외교·안보 정책
    • 참여 후보: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 김문수 (국민의힘)
      • 이준석 (개혁신당)
      • 권영국 (민주노동당)
    • 사회자: 전종환 (MBC 아나운서)

    3. 초청 외 토론회 (무소속 후보 대상)

    • 일시: 2025년 5월 19일(일) 22:00
    • 장소: SBS 스튜디오 (상암)
    • 주제:
      • 저성장 극복과 민생경제
      • 사회 갈등 극복과 통합
      • 정치 개혁 및 외교·안보 (시간총량제 통합토론)
    • 참여 후보:
      • 황교안 (무소속)
      • 송진호 (무소속)
    • 사회자: 고희경 (SBS 기자)

    4. 각 회차별 핵심 토론 주제 정리

    회차주요 주제공약 검증 항목
    1차 (5/18) 민생경제, 저성장 타개 통상 전략, 경쟁력 강화
    2차 (5/23) 사회 통합, 초고령 사회 대응 연금·의료 개혁, 기후 변화
    3차 (5/27) 정치 개혁, 외교안보 개헌, 양극화 해소
    초청 외 (5/19) 국정 전반 종합 통합형 시간총량 토론
     

    5. 토론회 시청 포인트 및 유권자 참고사항

    • 공약 실현 가능성을 꼼꼼히 검토하세요.
    • 말뿐 아닌 정책의 근거와 수치 제시 여부도 중요합니다.
    • 상대 후보 비판에만 집중하는 후보는 오히려 신뢰를 잃을 수 있습니다.
    • 유권자 입장에서 **가장 체감되는 분야(연금, 일자리, 주거, 교육)**를 기준으로 비교해보세요.

    6. 결론: 정책 중심 대선, 토론회가 기준이 되어야

    이번 제21대 대선은 과거 어느 때보다 노령화, 저성장, 정치양극화 등 대한민국의 구조적 문제들이 심화된 상태에서 치러지고 있습니다.
    토론회를 통해 후보자의 정책 비전, 소통능력, 문제 해결 역량을 면밀히 비교하고, 나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후보가 누구인지 선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